재건축 1년 이상 앞당긴다는데…尹뚝심에 주택공급 숨통 트일까 - 매일경제
정밀안전진단 없는 재건축 소요시기 1년 이상 줄일듯 국토부 “일단 개선안 검토” 노후도로 재건축 판단해도 초과이익 환수 등 규제 탓에 정비사업 활성화는 미지수
www.mk.co.kr
부동산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개정하는데는 노후와 안전, 사람이 살아가기때문이다.
국민들이 안전하게 살아가는 것이 기본이다.
전에는 잘 사는 사람들의 지역에만 신경을 썼다면 이제는 싸고 사람 없는 노후지역을 탈바꿈하여 가치를 올린다.
이게 재건축, 재개발이다.
재건축은 정밀 안전진단 1차, 2차로 진행된다.
- 비용도 많이 들며 D등급 이하를 받아야 재건축, C등급은 수평증축만 허용되는 리모델링을 할 수 있고 B등급 이상을 받아야 수직증축이 허용되는 리모델링을 할 수 있다.
하지만 재개발 사업에는 이런 안전진다 절차가 없다.
동네가 얼마나 낙후돼 있는지 노후를 살핀다.
오래된 불량 건축물이 전체 건축물의 2/3 이상인 면적 1만㎡ 이상 지역은 재개발 대상지가 된다.
재건축은 준공 30년이 지난 건물을 대상으로 정밀안전진단을 거치고
그 시기를 못 채운 건축물은 리모델링을 하거나 재건축 조건을 만족할 때 까지 더 기다렸다가 다시 짓는다.
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안전진단 없이 노후성만으로 재건축, 리모델링을 판단한다면
사업비용과 시기는 크게 줄어들지만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의 문제가 남는다고 했다.
(뭔말이여)
어쨋든 재건축이 시급한 건물들은 시간을 앞당겨 빠르게 추진한다는 말이다.
그렇다면 제대로 진단을 할 수 있느냐가 문제인데..
누군가는 이를 악용해서 내 건물이 무너지길 바라고 안전하지 않기를 바랄 수 있다.
그래야 심사에 통과가 되니깐...
상대적인 것 같은데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궁금하다.
[경제/IT 인공지능] 스타트업 달파, 메이크어스 숏폼 자동 생성 AI 솔루션 제공 (0) | 2024.01.03 |
---|---|
[부동산 / 재개발] 부산 초량 2구역 재개발 SK에코플랜트 수주 (1) | 2023.12.26 |
[부동산/경매] 고금리 영향으로 인해 늘어나는 경매 매물에 대한 준비 (1) | 2023.12.23 |
[경제/부동산] 겨울철, 임차인이 꼭 확인해야할 '상가 권리금' 회수 확인 (0) | 2023.12.21 |
[ 모닝 경제 신문 일지 / 임차인 중개 ] 빈상가 의뢰 임차인 매칭 성공 플랫폼 (0) | 2023.12.19 |